본문 바로가기
  • 토트마트의 정보바다
한국사 암기법

한국사(3) 삼국시대 : 한반도 고대왕국 성립은 K·B·S순이고 이민족과 싸우며 만들어졌다.

by 토트마트 2025. 9. 8.
반응형

명색이 한국사 암기법인데, 암기법은 없고 너무 설명만 있는 것 같아서 설명은 줄이고, 암기법을 더 늘리려고 합니다. 암기법이라고 해봤자 두문자 암기법이기는 한데, 오랜 기간 다듬어서 만들어진 것이라 순간적으로 만든 것보다는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무 의미가 없는 두문자 암기법은 휘발성이 있어서 금방 날아가지만 나름대로 말이 좀 되거나, 발음이 쉬우면 잘 기억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한국사의 경우, 다음에 말씀드릴 기회가 있겠지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든 수학능력시험이든 각 시대의 단편적 내용보다는 다른 시대 또는 사건과의 연결성을 염두에 둔 문제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두문자로 시대의 순서를 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계속 연재하는 글을 통해 한국사를 두문자로 정리하면 앞으로의 한국사 시험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은 지난번 원삼국시대에 이어 삼국시대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삼국시대

2태고 3동(을) 4미소전(하니)5 광장(이 생겼더라)

2세기 태조왕, 고국천왕, 3세기 동천왕, 4세기 미천왕 소수림왕 전진과 통교, 5세기 광개토대왕, 장수왕

한반도 고대왕국 성립은 K·B·S순이고 이민족과 싸우며 만들어졌다.

이 문장이 중요한 이유가, 이태고 삼동을 사 미소 전하니 오광정이 생겼더라, 삼고사초하니 오문동에 여섯 나무가 무성하더라, 사내오눌할 일이 여섯 가지 법진진. 이렇게 세 문장을 외웠는데, 이게 어느 나라인지 헷갈릴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KBS 순이니까, 2세기 태조왕은 첫 번째인 고구려, 3세기 고이왕은 두 번째인 백제, 4세기 내물왕은 마지막인 신라 순이라고 외우면 잊어버리지 않습니다.

 

고대왕국은 왕위세습, 지방족장의 중앙귀족화, 군대와 관리의 지방파견을 필수로 율령반포.

 

고구려는 2c 태조왕 때 왕위(계루부 고씨)를 세습하고 옥저를 정복했다(동해안 진출).

 

고구려는 고국천왕 때 부자상속과 부채노비를 방지하기 위해 진대법(을파소)을 실시했다.

 

고구려는 3c 동천왕 때 위촉오의 대립을 이용, 국제 관계 안목(서안평 실패)이 생겼다.

 

고구려는 4c 미천왕 때 서안평을 점령하고 낙랑, 대방을 축출했다.

 

고구려는 4c 소수림왕 때 전진과 통교, 율령반포, 불교수입, 태학의 설치 등. 고국원왕 때 전연, 백제가 침입.

 

고구려는 5c 광개토왕 때 요동진출, 한강선 확보, 신라를 도와 왜 격퇴.

 

고구려는 5c 장수왕 때 평양 천도, 남한강 진출, 중원고구려비, 확대된 외교관계(남북조와 교류)를 수립했다. 개로왕 죽임.

 

3고 4초(하니)5 문동(에) 6(나무가) 무성(하더라)

3세기 고이왕, 4세기 근초고왕, 5세기 문주왕, 동성왕, 6세기 무녕왕, 성왕

백제는 3c 고이왕 때 한강유역 통합, 율령 반포, 6 좌평제 실시, 16 관등의 공복제도 등 고대국가 성립.

 

백제는 4c 근초고왕 때 북으로 평양, 남으로 마한 차지. 해외진출(요서, 산뚱, 규슈)로 상업세력권 형성. 고흥 서기. 7 지도.

 

백제는 5c 비유왕 때 나제동맹. 문주왕 때 웅진 천도. 동성왕 때 탐라복속, 결혼동맹을 맺었다.

 

백제는 6c 무녕왕 때 지방세력 통제를 위해 지방에 22 담로를 설치했다. 익산미륵사지

 

백제는 6c 성왕 때 중흥시도로 사비천도, 22부 중앙관서, 불교 장려(겸익-율종), 외교를 강화했다.

 

4 내 5 눌 (할 일이) 6(가)지 법진진

4세기 내물마립간, 5세기 눌지 마립간, 6세기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진평왕

신라는 4c 내물마립간 때 김 씨 왕위 세습, 고구려 도움으로 북중국(전진)과 통교하고 왜 격퇴.

 

신라는 5c 눌지 마립간 때 나제동맹, 민간불교 전래, 소지마립간 때 우역제도, 시장 개설.

 

신라는 6c 지증왕 때 국호 신라, 군현제 도입, 우산국 정복 등.

 

신라는 6c 법흥왕 때 불교 공인, 율령반포, 상대등·병부 설치, 금관가야 정복하여 낙동강 진출.

 

신라는 6c 진흥왕 때 한강상류(적성비), 하류(북한산비), 대가야(창녕비), 함경도(마운령·황초령) 진출. 거칠부 국사.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 죽임.

 

신라는 6c 진평왕 때 수와 동맹, 위화부·조부·예부 설치. 세속오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