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인중개사는 국민자격증인가?
국민자격증이라고 불리는 공인중개사 시험이 두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올해는 2025. 10. 25.(토)이 공인중개사 1, 2차 시험일입니다.
지난번에 설명드렸듯이, 공인중개사 시험은 1, 2차 시험을 한꺼번에 치르며, 이 중 1차 시험은 합격하고 2차 시험에서 떨어질 경우, '유예'에 해당하게 되어 다음 해 시험에서는 1차는 건너뛰고 2차 시험만 합격하면,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취득합니다.
올해 2025년 제36회 공인중개사 시험의 최종 원서 접수 인원은 165,112명이라고 합니다. 그중 106,845명이 1차 응시자, 58,267명이 2차 응시자라고 합니다. 2차 응시자라는 것은 지난 시험의 1차 합격자로서 '유예' 수험생이라는 것이겠지요.
이번 응시 인원은 전년도 213,356명보다 48,244명이 감소한 수치로, 비율로는 전년도 대비 약 22.6% 감소에 해당합니다. 이는 최근 10년 사이 가장 낮은 접수 인원이라고 합니다.
확실히 예전에 비하여 공인중개사 시험의 관심이 많이 떨어지기는 했으나, 매년 수능 시험 응시인원이 약 44만 명 정도인 것을 생각하면, 수능 응시인원의 1/2에서 1/3 정도로 줄었다고 해도 상당히 많은 인원이 공인중개사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난 해까지의 누적 합격자만 보아도 약 55만 명이 넘는다고 하니, 전 국민의 100명 중 1명 이상이 갖고 있는 명실상부한 국민자격증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의 역사
공인중개사 시험은 1985년도에 최초로 시행되었으니, 올해는 최초 시행 후 40년째 생일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근데, 왜 올해가 제36회인가 하면, 시행 초기에는 법령 정비, 제도 정착 및 시행 준비 등을 이유로 매년 시행되지는 못했기 때문입니다.
모든 시험 과목이 객관식이다 보니 난이도 조절을 잘 못하는 경우도 많아서 합격 인원이 들쭉날쭉하지만, 시험이 어려운 해에는 1만 명대, 쉬운 해에는 2만 명대의 합격자가 매년 발생하고 있습니다.
[ 최근 5년간 응시 인원 및 합격자 수]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1차 | 대상(명) | 213,936 | 247,880 | 238,695 | 179,727 | 132,824 |
응시(명) | 151,674 | 186,278 | 176,016 | 134,354 | 98,483 | |
응시율(%) | 70.9 | 75.2 | 73.7 | 74.8 | 74.2 | |
합격(명) | 32,368 | 39,776 | 34,746 | 27,458 | 14,850 | |
합격률(%) | 21.3 | 21.4 | 19.7 | 20.4 | 15.1 | |
2차 | 대상(명) | 129,075 | 152,041 | 149,017 | 108,020 | 80,533 |
응시(명) | 75,214 | 92,569 | 88,378 | 65,705 | 49,521 | |
응시율(%) | 58.3 | 60.9 | 59.3 | 60.8 | 61.5 | |
합격(명) | 16,555 | 26,915 | 27,916 | 15,157 | 15,301 | |
합격률(%) | 22.0 | 29.1 | 31.6 | 23.1 | 30.9 |
공인중개사 시험의 전망 및 효용성
공인중개사 시험의 인기가 예전만 못한 것은, 국민자격증으로 불릴 만큼 이제까지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자격증을 소유하게 된 것도 있지만, 부동산 거래가 많이 줄어든 것도 그 이유 중 하나일 것입니다.
최근 부동산은, 서울시에서 올해 토지허가거래제를 풀었다가 다시 범위를 넓혀 다시 묶는 사고를 치면서 연초 강남 등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하였고, 그것이 서울 전 지역으로 퍼져나가려 할 때쯤 정권이 바뀌면서 6.28 대출금 최고 6억원 규제 시행으로 어느 정도 진정을 시킨 상태입니다.
이렇게 부동산은 정부 정책에 민감하고 경기를 많이 타다보니, 공인중개사업도 안정적이기보다는 여러 요인에 따라 개업과 폐업을 반복하는 업종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자격증 취득 후에도 실제로 사업이나 취업을 하는 사람보다는 그저 장롱 면허처럼 보유만 하는 사람도 많은 자격증입니다.
앞으로 또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으나, 공인중개사 자격증이 각 개인에게 어떻게 쓰일지는 사람마다 다를 것입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의 준비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는 입장에서는, 자격증 취득 후의 일을 미리 생각하면 공부에 집중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일단, 시험을 치르기 위해 책을 사고, 공부를 하고, 시험 접수를 했다면, 시험 합격에만 집중하는 것이 현명한 일입니다. 합격 후의 일은 합격한 후에 고민하여도 늦지 않습니다. 국민자격증이라 불리는 공인중개사를 다 함께 취득하여 봅시다.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공인중개사 시험 및 각 과목의 공부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끝.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중개사 자격증(4) : 쉽게 풀어 쓴 민법총칙 조문 (3) | 2025.08.25 |
---|---|
공인중개사 자격증(3) : 1차 시험의 공부 방법 (1) | 2025.08.24 |
공인중개사 자격증(2) : 객관식 시험의 공부 방법 (3) | 2025.08.24 |
복수자격증 취득에 관한 개괄 설명 (0) | 2025.08.22 |
복수자격증 취득의 장단점 (3)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