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토트마트의 정보바다
반응형

삼국시대2

한국사(4) 삼국시대 7세기 : 신라는 7c 진덕여왕 때 집사부·좌이방부·창부를 설치했다. 삼국시대 중 7세기를 별도로 만든 이유는 가장 중요한 세기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삼국이 통일되는 세기. 신라가 통일했으니 당연히 신라 위주의 세기입니다. 한국사뿐만 아니라 역사 공부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왕의 계보를 외울 필요가 있습니다. 어찌되었건 역사는 그 시대의 집권자를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특히, 대부분의 한국사 시험에서는 시대 구분 또는 순서를 묻는 문제가 많이 나오는데, 어느 사건이 언제 발생했는 지를 모두 외울 수 없으므로 그 당시의 왕을 기억한다면 쉽게 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삼국시대 말부터 통일신라로 이어지는 7세기, 8세기는 특히 시대 구분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한국사(1)에서 삼국 초기 왕들에 대한 두문자 암기 외에, 7세기, 8세기만 두문자로 외웠습니다. 그것이, 7.. 2025. 9. 13.
한국사(3) 삼국시대 : 한반도 고대왕국 성립은 K·B·S순이고 이민족과 싸우며 만들어졌다. 명색이 한국사 암기법인데, 암기법은 없고 너무 설명만 있는 것 같아서 설명은 줄이고, 암기법을 더 늘리려고 합니다. 암기법이라고 해봤자 두문자 암기법이기는 한데, 오랜 기간 다듬어서 만들어진 것이라 순간적으로 만든 것보다는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합니다.아무 의미가 없는 두문자 암기법은 휘발성이 있어서 금방 날아가지만 나름대로 말이 좀 되거나, 발음이 쉬우면 잘 기억될 수도 있습니다.특히, 한국사의 경우, 다음에 말씀드릴 기회가 있겠지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든 수학능력시험이든 각 시대의 단편적 내용보다는 다른 시대 또는 사건과의 연결성을 염두에 둔 문제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두문자로 시대의 순서를 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계속 연재하는 글을 통해 한국사를 두문자로 정리하면 앞으로의 한국사 시험에 많은 .. 2025. 9. 8.
반응형